BEP (손익분기점)
BEP분석을 위한 가정
1. 비용을 변동비와 고정비로 분류할 수 있다.
2. 단일제품을 생산 (복수제품을 생산한다고 한다면, 매출배합(판매비율)은 일정하다.)
3. 생산량=판매량 (재고자산이 기간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거)
4.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오로지 판매량 뿐이다.
매출액이 그 이하로 감소하면 손실이 나며, 그 이상으로 증대하면 이익을 가져오는 기점을 가리킨다.
손익분기점 분석에서는 보통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또는 비례비)로 분해하여 매출액과의 관계를 검토
한다. 매출액은 매출수량과 매출단가의 관계로 대치되므로 판매계획의 입안에 있어서 이 분석방법은 중
요한 실마리가 된다. 또한 그들 상호의 인과관계를 추구하는 것에 의하여 생산계획 ·조업도(操業度)정책
·제품결정 등 각 분야에 걸쳐 다각적으로 이용된다.
손익분기점(채산점)을 산출하는 공식
손익분기점 매출액 P*Q = 고정비/(1-변동비/매출액) = 고정비 / (1-변동비율)
손익분기점 판매량 Q = F/(P-v)
안전한계(margin of safety) : 실제 매출액이 손익분기점의 매출액을 초과하는 금액
=> 회사가 손실이 나타날 때까지 감소될 수 있는 매출의 여유금액
= 실제매출액 - 손익분기점의 매출액
= 실제판매량 - 손익분기점의 판매량
그러나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비례비)로 2분하는 것은 편의적 방법이므로 그 논리의 유효범위는 국한
적이다. 예를 들면, 조업도가 극단적으로 상위한 경우 등에는 비용곡선 자체가 다른 커브를 나타내게 되
므로 부분적인 분석결과를 가지고 나머지를 유추(類推)할 수는 없다. 따라서 손익분기점의 정밀한 분석
은 유효범위마다 구분하여 별개로 분석하여야 한다.
매출액이 늘면 늘수록, 손익 분기점은 낮아진다.
규모의 경제를 손익분기점 공식으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비용의 희석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에.. 많은 매출을 낼 수록, 수익의 증가속도는 더 빠르게 됩니다.
매출액이 일정할 때, 고정비를 낮추는 것이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
같은 매출액일 경우... 같은 금액이라도, 변동비 보다는 고정비를 낮추는 것이 기업이익을 개선하는 효과
가 큽니다.
CVP(Cost_Volume_Prefit)
1. CVP분석의 의의
1) CVP분석이란 원가, 조업도, 이익의 상호관계를 분석하는 기업
2) 이들 요소 중 특히 조업도(volume)의 단기적 변화에 따라 원가 및 이익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주요과제가 되며, 이에 따라 모든 원가는 조업도에 대한 행태별로 분류
(여기서 조업도란-매출액, 판매량 또는 생산량 등을 나타내는 영업량 개념)
2. CVP분석의 적용분야
: CVP분석기법은 이익계획 및 단기적 의사결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기업의 단기적 의사결정은
대부분 생산량(판매량)이 원가나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근거로 이루어지기 때문
1) 이익계획(예산편성)
- 투하자본 및 기업의 유지, 성장 등을 고려하여 목표이익은 사전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 기업의 단기적 목표이익은 종합예산의 형태로 구체화된다.
- CVP의 상호관계 : 목표이익(Profit) = 목표매출액(volume) - 허용원가(비용, Cost)
2) 단기적 특수 의사결정 - 관련원가 분석
- 특별 주문의 수락여부 : 공헌이익 접근법
- 자가제조 또는 외부구입 의사결정 등
3) CVP분석과 변동원가계산
- 변동원가계산(직접원가계산)은 CVP분석모형을 내부보고목적으로 제도화한 것이며, 그
결과 작성되는 공헌이익 손익계산서는 원가, 조업도, 이익의 상호관계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
3. CVP분석의 기본적 가정-확실성하의 분석
1) 모든 원가(비용)는 변동비와 고정비로 분해된다 : 단기적 분석
2) 원가 및 수익 행태는 모두 선형(Linearity)이다.
3) 생산량은 모두 같은 기간 중 판매된다 - 생산과 판매의 동시성
4) 단일제품만을 생산하며, 복수제품일 경우에도 매출배합은 일정하다.
5) 조업도만이 원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이다.
4. CVP분석의 핵심개념 - 공헌이익
1) 단위당 공헌이익 (UCM, Unit Contribution Margin)
2) 총공헌이익(공헌이익, TCM, CM, Total Contribution Margin)
3) 공헌이익률(CM%, P/V비율, Contribution Margin Ratio)
5. 법인세를 고려한 CVP 분석
세후이익 = 세전이익 - 법인세
= 세전이익 - (세전이익 * t)
= 세전이익 * (1 - t)
따라서, 세전이익(목표이익) = 세후이익 / (1-t)
6. 복수제품의 CVP 분석
① 고정제품배합법(꾸러미법) : 여러 제품이 담긴 선물 꾸러미처럼 여러 제품을 하나의 꾸러미에
담아 판매한다고 가정, 꾸러미 단위당 공헌이익이나 꾸러미공헌이익률을 이용하여
손익분기점을 구하는 방법
꾸러미 공헌이익 = v1*p1 + v2*p2 + ....
꾸러미 BEP(Q) = F / 꾸러미 공헌이익
각 제품 BEP(Q) = 꾸러미 BEP(Q) * 각 매출배합
② 가중평균공헌이익법 : 판매되는 전제품에 대한 가중평균공헌이익이나 가중평균공헌이익률을
이용하여 손익분기점을 계산하는 방법
평균공헌이익 = p1*매출배합퍼센트1 + p2*매출배합퍼센트2
복수제품 BEP(Q) = F / 평균공헌이익
각 제품 BEP(Q) : 복수제품 BEP(Q) * 매출배합퍼센트
7. CVP 분석의 한계
① 모든 원가는 변동원가, 고정원가로 분류 가능?
=> 구분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 존재
② 생산량과 판매량은 동일?
=> 기초재고, 기말재고 존재
③ 단위당 판매가격은 판매량이 증가해도 불변?
=> 현실적으로 판매량이 증가하면 단위당 판매가격 하락
④ 복수제품의 경우 매출배합은 일정?
=> 소비자의 기호나 시장점유율 등이 변함에 따라 매출배합도 변함
출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jch5&logNo=150125939452
'업무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식 (0) | 2013.12.13 |
---|---|
MPEG 표준 (0) | 2013.12.08 |
Balance sheet 보는 법 (0) | 2013.12.07 |
원가 산정 모델 (0) | 2013.12.07 |
2의 보수와 1의 보수 (0) | 201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