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방문한 코엑스 영풍이 기존의 2층 넓은 매장을 버리고 단촐한 옆 매장으로 이사한 걸 알게됐다. 기존 매장도 사실 반디 시절의 매장보다 맘에는 안들었지만 지하로 내려가면 넓은 이과/공학 영역은 꽤 괜찮았는데... 역시 신세계가 코엑스를 먹으면서 가운데 거대한 책 구조물을 설치한게 서점 유입 고객에 꽤 악영향을 미친 것 같다. (거기에 코엑스 자체가 뻘짓으로 자신의 위치를 깍아먹는 짓을 한 것도 꽤 크겠지)
여튼 회의와 회의 사이에 지친 마음을 달래러 들린 서점은 너무 작아져서... 책들이 분야에 맞지도 않게 낑겨져 있었다. ㅇㅇ 너무 코엑스 영풍을 책은 안 사고 구경만 하고 다녔나 싶은 (내가 얼마나 원인을 제공했겠냐 만은 -_-) 생각이 들어서 둘어보다가 간만에 국내 학자가 쓴 사회학 책을 사서 나왔다. 그래도 이 작은 영풍 매장은 안 날아가길 바라며 말이다.
책은 정말 술술 읽히는 책이었다. 시민이라는 이름의 사회 구성원을 길러내기 위해 생각의 단초를 제공해주는 구성이었다. 다만 여러 영역을 건들다보니 깊이가 있는 내용은 아니었다. 빠르게 한번 한번 터치터치하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게 머가 중요하겠는가? 저자가 생각하는 내용이 너무 안타깝게 와 닿아서 슬픈 느낌이었다.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 사회에 가능한 그 근저에 있는 프레이밍과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깊게 생각하지 못하게 하는 정치혐오조장이나 자기개발만능주의조장, 을을싸움을 시키려고 하는 부단한 노력들.
마지막 단원에서 저자가 얘기한 내용은 그래도 꽤 와 닿았다. 말로 해주는 시원함 같은 것. 비판은 비판으로 중요하고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기계적 중립을 얘기하는 가증스러움에 대한 일침.
김기덕 감독 부분은 읽으면서 이런 저런 생각도 하게했다. 요즘 미투 운동으로 밝혀진 치부가 글을 쓴 당시에 저자가 바라보던 내용과 겹치는 부분이 있어서 그런 듯 하다. 물론 저자는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을 무력화 하기 위한 김기덕에 대한 비난의 부당성을 얘기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김기덕이 성평등에 전혀 감수성을 가지지 않았다는 점은 슬픈 일이다. 사실 전 세대의 운동권이 많은 부분 그러하고 그것이 지금 터져나오는 것이리라. 진보 영역 안에 잠재되어 있던 보이지 않던 불평등 요소가 이번 사태를 통해 드러나고 잘 고쳐지고 좀 더 나은 모습으로 태어날 수 있기를 희망해보고 있기에 김기덕에 대한 책의 부분은 사실 내용 상은 별 것이 아니었음에도 꽤 다른 글들을 찾아보게 했다.
여튼 간만에 책을 한 권 완독하니 좋았다. 사면서 부터 쉽게 읽으리라고 생각했던 거긴 하지만 -_-; 사실 지금은 완독을 좀 쌓아갈 필요가 있다. 한동안 책을 멀리하고 살았으니 말이다.
'철학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불황과 나르시즘의 관계 (0) | 2014.06.11 |
---|---|
정형근 교수의 강의를 듣다보니 든 생각 (0) | 2014.03.21 |
해리 할로의 붉은 원숭이 애착 실험 (0) | 2013.08.01 |
벤자민 리벳의 실험이 자유의지와 관련이 있나 -_-? (0) | 2013.08.01 |